SKT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 방법
SKT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 방법
2025년 4월 SK텔레콤에서 발생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건은 국내 이동통신 보안 역사상 유례없는 심각한 사고로, 약 2,300만 명에 달하는 고객의 정보가 무단으로 외부에 노출됐습니다. 저도 유심을 무상으로 교체하는 방법으로 대처를 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건 개요와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 방법, 주의사항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1. SKT 개인정보 유출 사건 개요
<광고>
2025년 4월 18일, 신원 미상의 해커가 SK텔레콤 네트워크에 침입해 홈가입자인증서버(HSS)에 악성코드를 설치하고, 고객의 휴대전화번호, 가입자 식별번호(IMSI), 유심 인증 키 2종(Ki/OPc), 그리고 회사 내부 관리용 정보 21종을 외부로 유출한 것이 확인됐습니다. 이번 사고로 SK텔레콤 전체 가입자 대부분이 영향을 받았습니다. SK텔레콤은 사고 인지 직후 해킹 관련 장비를 격리하고, 전수 점검 및 비정상적인 인증 시도 차단 등 긴급 보안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2. 유출된 주요 개인정보 항목
- 휴대전화번호
- 가입자 식별번호(IMSI)
- 유심 인증 키 2종(Ki/OPc)
- 기타 회사 내부 관리용 정보 21종
이 정보들은 통신망에서 사용자를 식별하거나 인증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디지털 신분증 역할을 하기 때문에 2차 피해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재까지 실제로 2차 피해가 발생한 사례는 없지만, 스미싱 문자나 사칭 전화를 통한 추가 범죄 가능성에 유의해야 합니다.
3.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 방법 (2025년 7월 기준)
<광고>
온라인 조회 방법
- SK텔레콤 T월드 홈페이지(모바일: m.tworld.co.kr/v0/infocheck)에 접속합니다.
-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 페이지에서 이름, 주민등록번호, 통신사, 휴대폰번호, 인증번호를 입력해 본인 인증을 진행합니다.
- 인증이 완료되면, 본인의 개인정보 유출 여부 및 유출 항목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KT 이용자가 아니더라도, 유출 시점(2025년 4월 18일)에 SKT 가입자였다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 14세 미만 미성년자는 법정대리인 동의서 등 필요 서류 지참 후 T월드 매장 또는 고객센터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 본인 인증이 되지 않는 회선은 확인이 불가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SKT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 사이트를 통해서 제가 직접 유출 여부를 확인해봤습니다. 먼저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이제 이름,주민번호,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휴대폰번호 옆에 있는 '인증'을 클릭합니다. 그럼 내 휴대폰으로 6자리 인증번호가 옵니다. 이 인증번호를 위의 인증 번호 부분에 넣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역시나 예상했던대로 4가지 개이정보인 전화번호, 가입자 식별정보, 유심 인증 키 등 총 4종과 개인 정보에 해당하지 않은 회사 내부 관리용정보 21종이 유출되었다고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이번 SKT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해서 SK텔레콤에서는 8월 한달 전화요금 50% 할인과 데이터 50기가 추가 제공(8월~12월)의 혜택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집털리고 주는 이러한 소소한 혜택은 어이없기만 하네요.
오프라인 및 추가 문의
- SK텔레콤 고객센터: 휴대폰에서 114(무료), 1599-0011(유료)
- 사이버 침해 사고 전담센터: 080-800-0577
4. 이용자 주의사항 및 대응법
- 개인정보 유출 여부 조회는 반드시 공식 홈페이지에서만 진행해야 합니다. 문자, 카카오톡 등으로 수상한 링크가 오면 클릭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유출 사실이 확인된 경우, 유심(USIM) 무료 교체와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등 추가적인 보호 조치를 받으세요.
- 금융 사기, 스미싱, 사회공학적 해킹(사칭전화 등) 시도에 주의하고, 의심 연락이 오면 즉시 차단 및 신고하세요.
- 앞으로 SKT뿐 아니라 통신사 안내문 수신 시, 항상 공식 URL을 통해서만 접속해 안내를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이번 SK텔레콤 개인정보 유출 사고는 전 국민의 안전한 정보 사용과 보안 습관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는 계기입니다. 본인 정보 유출 및 2차 피해 가능성에 대한 확인, 그리고 신속한 대처가 무엇보다 중요하니 꼭 직접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